『요가 수트라』의 핵심 구절이 바로:
"Yogaś citta-vṛtti-nirodhaḥ"
"요가는 마음의 작용(찌따 브리띠)을 멈추는 것이다."
그 ‘멈춤(니로다하)’에 도달하기 위한 두 개의 날개가 바로
**"Abhyāsa(아비야사)"**와 **"Vairāgya(바이라갸)"**입니다.
이 두 개념은 요가 수행에서 의지와 내려놓음,
즉 노력과 비집착이라는 균형을 말합니다.
🧘♀️ 1. Abhyāsa (अभ्यास)
🔤 어원 풀이:
- ‘abhi’: 향하여, 집중하여
- ‘√ās’ 또는 ‘√bhās’: 머무르다, 익숙해지다
- 즉, ‘지속적인 반복을 통한 익숙함’
🧠 의미:
- 끊임없는 수련, 지속적 노력,
마음을 고요함에 머무르게 하려는 반복적 시도
📜 『요가 수트라』 1.13:
"tatra sthitau yatno ’bhyāsaḥ"
→ “그 고요함의 상태(니로다하)에 머무르려는 노력, 그것이 아비야사다.”
🌱 수행자의 마음:
“오늘도 다시 앉아본다.
마음이 흐르더라도, 나는 다시 중심으로 돌아온다.
그렇게 수없이 돌아오면서,
나는 결국 ‘머무는 자’가 되어간다.”
🌿 2. Vairāgya (वैराग्य)
🔤 어원 풀이:
- ‘vi’: 멀리하다, 분리
- ‘rāga’: 집착, 열망 (앞서 다룬 끌레샤 중 하나!)
→ ‘집착으로부터의 자유’, ‘갈망을 내려놓는 상태’
🧠 의미:
- 바라는 마음, 혐오하는 마음 모두에서 벗어남
- 감각적 대상, 성과, 자아에 대한 욕심을 손에 쥐지 않는 것
📜 『요가 수트라』 1.15:
"dṛṣṭānuśravika-viṣaya-vitṛṣṇasya vaśīkāra-saṁjñā vairāgyam"
→ “보았거나 들었던 대상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,
그 위에 군림할 수 있는 상태, 그것이 바이라갸다.”
🌱 수행자의 마음:
“좋아서 잡으려 하지 않고,
싫어서 밀어내려 하지 않는다.
그저 이 순간을 그대로 받아들인다.
내가 가진 것이 사라져도, 나는 사라지지 않는다.”
🔔 두 날개의 균형
수련의 양 날개산스크리트어의미요가 수행의 핵심 역할
지속적인 수련 | Abhyāsa | 마음을 고요함에 반복적으로 머무르게 하기 | 의지를 통한 성장 |
비집착 | Vairāgya | 감정과 욕망, 결과에 대한 집착을 놓는 태도 | 자유를 통한 해방 |
“한쪽 날개만으로는 날 수 없다.
지속적인 노력과, 내려놓는 태도,
그 둘이 함께 할 때, 마음은 비로소 멈추기 시작한다.”
728x90
'요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🌿 「숨을 다스리는 자, 마음을 다스리다」 - 하타 요가의 8가지 호흡 수련 (0) | 2025.04.16 |
---|---|
🌿「나는 가진 것이 아니다」 – 요가가 말하는 무소유의 본질 (0) | 2025.04.16 |
🌿 「고통은 어디에서 오는가」 – 요가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번뇌의 본질(빤쨔 끌레샤) (1) | 2025.04.16 |
🌿 「마음을 멈추는 연습」 – 요가가 말하는 다섯 가지 마음작용의 진실(찌따 쁘리띠) (0) | 2025.04.16 |
요가의 5가지 마음작용 - 빤짜 찟따브리띠 스토리로 이해하기 (0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