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요가

(36)
🌿 「숨을 다스리는 자, 마음을 다스리다」 - 하타 요가의 8가지 호흡 수련 🧘‍♂️ 하타 요가 쁘라디피까의 프라나야마 요약📜 주요 출처: 『하타 요가 쁘라디피까』 제2장 – 프라나야마(호흡법)✅ 1. 나디 쇼다나 (Nāḍī Śodhana) – 나디 정화 호흡뜻: 에너지 통로(나디)를 정화하는 호흡방법: 왼쪽(이다)과 오른쪽(핑갈라) 콧구멍으로 번갈아 숨을 들이쉬고 내쉼효과: 마음을 진정시키고 프라나(기운)의 흐름을 고르게 함📌 이 호흡이야말로 모든 프라나야마의 준비 단계이며,몸과 마음을 정화하여 **사마디(삼매)**의 준비를 돕습니다.✅ 2. 수리야 베다나 (Sūrya Bhedana) – 태양 관통 호흡뜻: 태양 에너지를 깨우는 호흡방법: **오른쪽 콧구멍(핑갈라)**로 숨을 들이마시고, 왼쪽으로 내쉼효과: 몸을 따뜻하게 하고, 게으름과 탁기를 제거📌 생명력 활성화, 냉..
🌿「나는 가진 것이 아니다」 – 요가가 말하는 무소유의 본질 『요가 수트라』에서 빠딴잘리가 말한 **무소유(Aparigraha, 아파리그라하)**는단순히 “가진 것을 내려놓는 행위”를 넘어서,‘존재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유’를 자연스럽게 일으키는 실천입니다.이제 그 이유를 철학적·심리적·수행적인 관점에서진정성 있게 하나하나 설명해드릴게요.🧘‍♂️ 『요가 수트라』 2.39"Aparigrahasthairye janma-kathantā-sambodhaḥ"“무소유에 확고히 머무르면,자신의 삶의 여정(과거·현재·미래)에 대한 통찰이 생긴다.”🌱 1. 왜 무소유가 통찰로 이어지는가?📌 핵심 개념:“붙잡는 것이 사라질 때,나는 ‘무엇으로 존재하는가’를 묻게 된다.”🧩 예시로 풀어보기:✔️ 평소엔 나는 이렇게 말해요:“나는 선생님이야.”“나는 이 집의 가장이야.”“나는 ..
🌿 「요가수련의 두 날개」 – 아비야사와 바이라갸의 의미 『요가 수트라』의 핵심 구절이 바로:"Yogaś citta-vṛtti-nirodhaḥ""요가는 마음의 작용(찌따 브리띠)을 멈추는 것이다."그 ‘멈춤(니로다하)’에 도달하기 위한 두 개의 날개가 바로**"Abhyāsa(아비야사)"**와 **"Vairāgya(바이라갸)"**입니다.이 두 개념은 요가 수행에서 의지와 내려놓음,즉 노력과 비집착이라는 균형을 말합니다.🧘‍♀️ 1. Abhyāsa (अभ्यास)🔤 어원 풀이:‘abhi’: 향하여, 집중하여‘√ās’ 또는 ‘√bhās’: 머무르다, 익숙해지다즉, ‘지속적인 반복을 통한 익숙함’🧠 의미:끊임없는 수련, 지속적 노력,마음을 고요함에 머무르게 하려는 반복적 시도📜 『요가 수트라』 1.13:"tatra sthitau yatno ’bhyāsaḥ"→ ..
🌿 「고통은 어디에서 오는가」 – 요가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번뇌의 본질(빤쨔 끌레샤) 🧘 빤쨔 끌레샤란?끌레샤(Kleśa)는 산스크리트어로 **‘고통의 원인’, ‘내면의 장애’**를 뜻합니다.파탄잘리의 『요가 수트라』에서는 우리가 겪는 모든 심리적 고통과 혼란의 뿌리가이 다섯 가지 끌레샤에서 비롯된다고 말해요.“끌레샤는 마음의 가장 깊은 무지에서 시작된다.” (요가 수트라 2.3)🌑 1. Avidyā (아비디야) – 무지(無知)“있는 것을 없다고, 없는 것을 있다고 착각하는 것”✅ 어떤 상태일까?진짜 자신(Puruṣa)을 알지 못하고,몸이나 감정, 생각, 사회적 자아를 ‘나’라고 착각하는 상태예요.고통을 고통인 줄 모르고 반복하게 만듭니다.🧩 일상의 예시:타인의 인정이 전부인 줄 알고그것을 잃으면 존재가 흔들리는 사람."성공해야만 나는 가치 있어."→ 이 믿음이 무너질 때, 함께 무..
🌿 「마음을 멈추는 연습」 – 요가가 말하는 다섯 가지 마음작용의 진실(찌따 쁘리띠) 🧘‍♀️ 1. Pramāṇa (프라마나) – '올바른 인식'조차도 멈춰야 하는 이유“이건 사실이야.”“난 정확히 보고 있어.”“나는 진실을 말할 뿐이야.”✅ 왜 멈춰야 할까?‘진실’이라 하더라도, 그것은 마음이 ‘대상을 해석한 것’일 뿐이에요.프라마나는 정확해 보이지만, 여전히 판단이며 경계를 만든 인식 작용입니다.💡 예시“그 사람은 나를 무시했어. 표정으로 알 수 있었어.”→ 판단은 ‘논리적’이지만, 여전히 나의 틀 안에서 해석된 것일 뿐.🧘‍♂️ 수행자의 통찰“나는 진실을 붙잡는 것이 아니라,진실조차 흘려보내고 그 이면의 침묵에 닿고자 한다.”진실조차 내려놓을 때, 나와 대상의 경계가 사라지고,순수한 '지금-여기'가 드러납니다.🌈 2. Vikalpa (비깔빠) – 실체 없는 상상, 마음을 가장..
요가의 5가지 마음작용 - 빤짜 찟따브리띠 스토리로 이해하기 📖 《나의 하루, 나의 마음 – 그리고 그 너머》🌅 아침, 휴대폰을 열자 답장이 없다.‘어제 보낸 톡… 왜 아직 안 왔지?’① [추론 – 아누마나 (Anumāna)]“아마 내가 보낸 말이 기분 나빴던 걸까?”“답장 없는 걸 보니 뭔가 이상해…”→ 내 마음은 단서 몇 개로 상황을 조합하며 결론을 내리기 시작합니다.하지만 진짜 확인한 건 하나도 없죠.② [상상 – 비깔빠 (Vikalpa)]“혹시 나를 멀리하려는 걸까?”“혼자 마음 정리 중이야? 설마 이제 안 보자는 건가…?”→ 사실이 아님에도, 머릿속에선 ‘그럴듯한 시나리오’가 펼쳐집니다.그리고 감정은 그 가짜 시나리오에 진심으로 반응하죠.③ [기억 – 스므르띠 (Smṛti)]“예전에 그 친구도 이렇게 갑자기 연락 끊겼었지…”“그땐 참 아팠는데…”→ 과..
🌟 야마·니야마를 하루 일상 속 이야기로 바꾸자 🌟 ① 야마·니야마를 하루 일상 속 이야기로 바꾸자🌅 아침에 눈을 떴을 때부터 야마와 니야마가 하나씩 등장하는 이야기!🧘‍♀️ 《야마 5가지 이야기》🕊️ "세상을 해치지 말고, 진실하게 살고, 남의 것 탐내지 말고, 절제하며, 욕심 없이 살아가자."어느 날 나는 요가마을에 도착했어.나를 반기는 첫 번째 규칙은🧡 1. 아힘사(비폭력) – "여기선 절대 상처 주면 안 돼요. 말로도 눈빛으로도."💬 2. 사띠야(진실성) – "여긴 거짓말하면 요가 매트가 휘어요!"🧺 3. 아스떼야(도둑질 안 하기) – "다른 사람의 물건을 쳐다보지도 말아요!"🔥 4. 브라흐마짜랴(절제) – "모든 에너지는 아껴 써요. 특히 욕망은 고요하게."🎈 5. 아빠리가하(무소유) – "짐이 많으면 요가할 자리가 없어요. ..
🧭 요가 8단계 완전 정리 🧭 요가 8단계 완전 정리요가는 “찌따 브리띠 니로다하” – 즉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것그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따라야 할 8단계 여정🔹 1단계: 야마 (Yama)사회적 도덕 규칙, 바깥세상과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금지 사항1️⃣아힘사 (Ahimsa)비폭력, 해치지 않기2️⃣사띠야 (Satya)정직, 진실을 말함3️⃣아스떼야 (Asteya)훔치지 않음, 탐하지 않음4️⃣브라흐마차르야 (Brahmacharya)절제, 에너지 절약 (정신적 순결 포함)5️⃣아파리그라하 (Aparigraha)소유 집착 버리기, 비소유🔸 2단계: 니야마 (Niyama)개인적 규율, 내면과 자신에 대한 규칙1️⃣샤우차 (Śauca)청결 (신체 + 마음 정화)2️⃣산또샤 (Santoṣa)만족, 현재에 감사3️⃣따빠스 (Tapa..

728x90